[스포츠경향] 병원별로 다른 자궁근종 치료법...
'다학제적 진료' 필요성 대두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는 주부 김 모(42) 씨는 최근 자궁근종으로 진단받은 후 고민이 많다. 어떤 치료법을 선택해야 할지 아리송해서다. 보통 ‘치료법’은 의사의 재량에 맞게 이뤄지는 게 보통이지만 여러 의사로부터 제각기 다른 치료법을 권유받았다면 결국 이는 환자의 선택이 된다.
김 씨도 이런 사례다. 갑작스레 증가한 생리량으로 인해 빈혈기운이 심해져 병원을 찾았더니 두 곳에서 자궁근종으로 진단받았다. 산부인과에서는 절제수술을 권했고 다른 클리닉에서는 자궁근종 하이푸치료를 추천했다.
(중략)
민트병원은 산부인과·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협진하며 이들 치료법을 모두 적용하고 있다. 한 환자의 케이스를 두고 3~4명의 의료진이 토론하며 가장 적합한 치료를 찾아가는 방식이다. 근종상태나 증상뿐 아니라 환자의 직업, 경제사정 등 라이프스타일까지 고려해 만족도가 높다고.
이와 관련해 최근 미국 메이요클리닉 의료진도 이 병원을 찾아 자궁근종 통합치료 현장을 둘러보고 간 바 있다. 메이요클리닉의 경우 미국 내에서 MRI를 이용한 하이푸 치료를 가장 많이 하는 병원 중 한 곳으로 꼽힌다.
(중략)
김재욱 민트병원 자궁근종통합센터장은 “민트병원은 최신 치료보다 환자에게 가장 좋은 치료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자궁근종 치료의 핵심은 정확한 진단”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