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하지정맥류 말끔하게 잡아주는
비수술치료 ‘베나실 · 클라리베인’

서울 송파구 문정동에 거주하는 스튜어디스 강모 씨(29)는 오랜만에 만난 여동생으로부터 걱정어린 핀잔을 들었다. 심하게 운동을 한 것도 아닌데, 어느새 종아리 아래로 혈관이 두드러져 보이기 시작했다. 무릎 뒤에는 꼬불꼬불한 혈관이 두드러져 보였다. 전혀 생각지도 못한 지적에 신경이 쓰이기 시작했다. 동료들에게 슬쩍 물어보니 하지정맥류일 것이라는 ‘예측’을 들었다. 이는 오래 서 있는 ‘스튜어디스 직업병’이라는 것. 그는 더 방치하면 혈관이 더 굵어진다는 동료의 말에 병원을 찾았다. 아니나 다를까 하지정맥류로 진단받았다.
하지정맥류는 정맥 판막에 이상이 생겨 다리에서 심장으로 들어가야 할 혈액이 다리정맥에 고이면서 나타난다. 파란 혈관이 많이 비치거나, 라면사리처럼 구불거리며 튀어나오는 게 특징이다. 심한 경우 2~3ℓ의 혈액이 다리에 고여 다리가 무겁고 쉽게 피곤해진다. 장기적으로 방치하면 다리에 피부염이 생기기도 한다. 초기엔 다리가 쉽게 피곤할 뿐 통증이 없어 단순히 ‘많이 서있거나 걸어서 그런가 보다’ 하고 방치하기 쉽다.
김건우 민트병원 정맥류센터 원장은 “하지정맥류는 초음파검사로 간단히 진단할 수 있어 다리가 저리고 무거운 느낌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는 게 좋다”며 “초기에 정맥류가 나타나면 압박스타킹으로 어느 정도 호전될 수 있지만 더 심해지면 의학적 도움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과거에는 문제되는 혈관을 제거하거나 묶는 외과수술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흉터가 심하게 남고, 전신마취가 필요했으며, 수술 후 통증이 심한데다가 재발 확률까지 높아 최근엔 비수술적 하지정맥류 치료법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어떤 시술이든 그렇듯, 초기에 잡으면 치료시간 · 비용을 단축할 수 있다. 최근 의학기술이 발전하며 초기에 하지정맥류를 깔끔하게 잡아주는 치료법이 대거 등장했다. 대표적으로 베나실과 클라리베인을 들 수 있다. 모두 칼을 대지 않고, 간단히 주삿바늘 크기의 침습으로 이뤄지며, 바로 회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베나실(VenaSeal) 치료는 의료용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문제 혈관에 주입해 망가진 혈관을 접착, 하지정맥류를 개선한다. 김 원장은 “베나실 시술 적용대상은 1회 치료로 정맥류 완치에 가까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다”며 “기존 레이저 · 고주파 등 열 폐쇄술, 정맥발거술 등에 비해 추가 치료가 거의 필요 없을 정도”라고 소개했다.
무엇보다 칼을 전혀 대지 않아 신경마취가 필요 없으며 시술 후 압박스타킹 또한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치료이긴 하지만 하지정맥류 치료를 목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의 승인을 받아 안전성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클라리베인(ClariVein) 은 올해 5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신의료기술 인증을 받은 ‘신상 치료법’이지만, 미국에서는 이미 2008년부터 FDA의 승인을 받아 많은 임상 연구가 이뤄진 시술이다. 이 역시 비수술적 하지정맥류 치료법으로 미국의 의료기기 회사 바스큘러 인사이츠가 개발했다. 클라리베인은 혈관 내로 회전하는 카테터를 삽입해 물리적 자극을 주며 경화제를 주입해 문제 혈관을 치료한다.
김 원장은 “기존 혈관경화요법은 매우 가느다란 혈관에만 적용할 수 있었고, 보통은 미용 목적 치료에만 활용됐던 게 사실”이라며 “반면 클라리베인은 정맥류가 발생한 굵은 혈관까지 치료할 수 있는 게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하지정맥류 치료법은 무궁무진하다. 1세대 외과수술을 시작으로 2세대 치료법인 레이저 · 고주파 열폐쇄술, 3세대 치료법인 베나실 · 클라리베인 등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의 폭이 크다.
또한 김 원장은 “많고 많은 하지정맥류 치료법 중 ‘무조건 이것을 해야만 한다’는 것은 없다”며 “의사의 면밀한 검진 후 환자의 상황까지 고려해 적절한 치료법을 제시해야 만족도가 높다”고 강조했다. 이어 “혈관 내 치료의 핵심은 얼마나 정확하게 문제 혈관을 파악하고, 적절한 위치에 치료를 시행하는가의 여부”라고 덧붙였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