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다출혈 일으키는 자궁근종
더운 여름 ‘적신호’
40세 주부 L씨는 평소 극심한 생리통과 과다출혈로 빈혈이 심한 편인데 여름만 되면 뜨거운 태양 열로 인해 빈혈 증상이 더욱 심해져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있다. 여러 병원을 찾아 가 봤지만 매번 듣는 말은 자궁적출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말뿐이다.
과다출혈·부정출혈이 보인다면 자궁근종 의심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의 4~50%에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자궁에 생긴 혹(양성종양)이다. 무증상인 경우도 있지만 대표적인 증상으로 생리과다, 하복부통증, 허리통증, 빈뇨 등이 있다. 심할 경우 한 달 내내 생리를 하거나 생리기간이 아닌데도 출혈 증상이 보이기도 한다. 무더운 여름에는 과다출혈로 인한 두통, 어지러움이 심해 위험성이 더 커진다.
자궁근종의 치료 방법은 자궁적출이나 전신마취 후 절개를 통해 치료하는 근종 제거수술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수술적 치료인 용해술, 레이저 치료, 색전술 등이 수술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 중 근종의 크기, 개수, 위치에 제한 없이 치료하는 자궁근종 색전술은 사타구니 부위에 2mm 바늘구멍 크기의 최소침습, 국소마취만으로 근종을 치료한다. 근종이 위치한 미세한 혈관을 작은 모래알 크기의 입자로 막게 되면 영양보급이 차단된 근종은 서서히 쪼그라들면서 괴사된다. 색전술의 장점은 치료 가능 범위가 넓어 다른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는 다발성 근종이나 크기가 10cm 이상의 근종, 자궁 깊숙이 위치한 근종도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레벨 A의 자궁근종 치료법
자궁근종 색전술은 미국산부인과학회(ACOG)로부터 지난 2008년 ‘레벨 A’ 치료로 지정되었다.
‘레벨 A’ 치료는 근거중심의학에서 정해놓은 각 시술법(의약 포함)의 평가 기준 중 최고 등급이다.
수많은 실험에 의해서 모아진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RCT(이중맹검실험) 리포트를 통해 치료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여러 건의 RCT 리포트가 쌓여야 비로소 최고 등급인 ‘레벨 A’를 받을 수 있다. 자궁근종 색전술은 1,278명의 시술환자들을 3년간 추적 검사한 결과에서도 90% 이상에서 근종의 100% 완전 치료가 입증 됐고 검사 대상이었던 시술환자 중 86%는 지인들에게 적극적으로 추천하겠다는 답변을 얻었다.

자궁근종 색전술 전문병원 민트영상의학과
자궁근종 색전술은 산부인과가 아닌 인터벤션을 전공한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시행한다. 혈관조영장비와 혈관을 통하는 미세한 시술도구에 능숙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벤션 전문의는 대학병원 내에서 타과 의사의 의뢰를 받아서 치료해 왔지만 요즘은 인터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병원도 생겨나 일반인들의 접근성이 좋아졌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인터벤션 전문병원을 개원한 김재욱 원장은 “자궁근종 치료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며 특정 치료를 강요하기 보다는 근거중심의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치료의 선택권을 갖게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기사원문]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80102109919807065